딥러닝7 [통계] 메타코드M_통계 기초 (2) 산포, 왜도, 첨도, 상관 지난 글에 이어 메타코드M, 5시간에 끝나는 통계 기초 정리 두 번째 글 시작! https://mcode.co.kr/mypage/lecture_view?wm_id=1360&lecture_id=15&lecture_num=2&lecture_sub=102 오늘 정리할 부분은 3. 통계량(산포, 왜도와 첨도, 상관). 지난 번 글쓸 때 생각보다 글 길이가 길어지기도 하고 정리가 오래 걸려서 미뤘던 부분이다. 3. 통계량 산포의 대표적인 예는 분산이다. 위 공식은 정확히 '표본 분산'을 구하는 식이다. '편차'라는 것은 데이터와 데이터 전체 평균의 차이를 말한다. 이것의 제곱합을 자료수로 나눈 값이 표본 분산이다. 만약 모분산을 구한다면 n으로 나누면 되지만, 표본 데이터는 n-1로 나눈다. n-1로 나누는 이유.. 2024. 1. 28. [통계] 메타코드M_통계 기초 (1) 데이터의 종류, 중심 통계량 이번에는 메타코드M 통계 기초 5시간 강의 내용을 공부하는 김에 정리해 볼 것이다. 기록은 증거다. 나는 약하게..(?) 저장 강박을 가지고 있어서 온갖 것을 메모하고 저장하는 습관이 있다. 그런데 당시에 노트 필기를 예쁘게 해도, 필요할 때 바로바로 열어볼 수가 없다. 통계 공부도 그렇다. 대학 전공과목으로, 대학원 시절 스터디로, 사회조사분석사 2급 취득할 때, 빅분기 필기 볼 때... 총 5-6번은 기초 통계학 공부를 했다. 그런데 증거로 보여주기가 쉽지 않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, 지금부터 접근하기 쉬운 '블로그'에 열심히 공부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. 복습 겸, 다시 공부하면 되지 뭐! 🔥화르륵 일단 아래 강의로 결정! 메타코드M 5시간에 끝나는 통계 기초 오늘 정리할 부분은 1. 통계 2. 데이.. 2024. 1. 21. [데이터분석가] 메타코드M 문과출신 비전공자의 데이터분석가 취업 커리어 특강 후기 나는 데이터 관련 전공자가 아니다. 심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2021년 첫 회사에 취직했다. 상담심리학과가 아니었기 때문에, 다수의 학술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E-prime, PsychoPy 같은 프로그램으로 행동 실험을 설계/제작하고 구현하거나, SPSS를 이용해 통계 분석을 하기도 했다. SPSS 통계 분석을 syntax(명령문)로 돌렸으니 완전히 거리가 먼 것은 아니라 생각한다. 석사 시절에도 데이터를 통계 분석하는 업무가 어렵긴 하지만 제일 재미있었는데, 갈수록 데이터 분석 쪽에 관심이 갔다. 아무래도 새로운 뭔가를 만들기 보다는 마이닝 쪽에 더 맞는 것 같기도 하고... 현재 연구개발직에 속해 있지만 10년 뒤, 20년 뒤의 미래를 그려봤을 때 계속해서 무언가를 배우고, 그 과정에서 내가 .. 2024. 1. 21. 이전 1 2 다음